본문 바로가기

실용적인 상식들(궁금한 이야기)

NFT와 P2E(play to Earn), 게임하면서 돈을 벌다 ?!

P2E가 무엇인가요?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번다'는 개념으로 사용자가 게임을 하며 획득한 재화나 아이템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자산으로 활용되는 모델을 말한다. 즉, P2E 게임은 게임의 아이템 등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기록해 사용자에게 소유권을 부여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게임을 즐기는 동시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플레이 투 언 게임은 NFT(Non fungible Token) 가상자산이 적용된 블록체인 기반이 대부분으로, 플레이어가 NFT화돼있는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게임 아이템이나 재화, 캐릭터 등을 가상자산을 활용해 자유롭게 사고팔면서 수익을 얻게 된다. 여기서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 디지털 세상에서 구매자의 소유권을 증명받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파일이다.

플레이투언 게임의 시초 격으로는 가상 고양이 육성 게임인 ‘크립토키티(CryptoKitties)'를 들 수 있다. 2017년 스타트업 대퍼랩스(Dapper Labs)가 개발한 크립토키티는 NFT의 표준안인 이더리움 ERC-721 토큰 방식으로 제작된 게임으로, 유저가 NFT 속성의 고양이들을 교배해 자신만의 희귀한 고양이를 만드는 게임이다. 특히 2017년 말 이 게임의 디지털 고양이가 11만 달러(약 1억 2,000만 원)에 거래되면서 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의 가능성을 보다 면밀하게 살필 수 있는 분야가 또 있으니, 바로 '플레이 투 언(Play To Earn, P2E)' 게임 산업이다. 이름 그대로 '돈 버는 게임'이라는 뜻인데, 플레이를 통해 획득한 게임 속 아이템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현금화할 수 있게 만든 게임을 말한다. 아직 한국에서는 낯선 개념이지만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는 이미 대중적으로 꽤 익숙한 모델이다.

베트남 "엑시 인피니티"

특히 동남아시아의 게임 회사들이 이 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바로 P2E 게임의 시초이자 대명사인 게임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를 개발한 베트남의 게임사 스카이 마비스(Sky Mavis)다.
독특한 플레이 투 언 시스템을 앞세워 엑시 인피니티는 현재 이용자가 전 세계 100만 명이 넘는 글로벌 인기 게임으로 등극했다.


그렇다면 국내의 플레이 투 언 게임 현황은 어떨까. 우리나라에서도 관련 게임이 등장했다. 위메이드가 제작한 게임 '미르 4'다. 미르 4는 게임 내 통용되는 화폐를 '드레이코(DRACO)'라는 코인으로 바꿨다. 이 코인은 위메이드의 가상화폐 지갑 '위믹스 월렛'을 통해 가상화폐 '위믹스'로 교환된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미르 4는 최근 글로벌 동시 접속자 100만 명 이상 기록했다. 이는 위메이드의 폭풍 성장으로 직결됐다.

규제가 발목을 잡을 것인가

문제는 국내 에서는 블록체인 게임 유통이 금지돼 있다는 것이다.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사행성을 이유로 P2E 게임과 NFT 게임에 등급을 주지 않고 있다. 등급 없는 게임은 사실상 유통할 수 없다. 현재도 리니지 아이템이 수천만원에 공공연히 거래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행성 논란이라는 구 시대적 잣대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거대한 시장을 태동조차 못하게 막는 것이 과연 현명한 처사인지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출처:나무위키